수원 화성 또는 화성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와 장안구에 걸쳐 있는 길이 5.52킬로미터의 성곽입니다. 1963년 사적 3호로 지정되었으며,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습니다. 수원 화성은 한국 성의 구성 요소인 옹성, 성문, 암문, 산대, 체성, 치성, 적대, 포대, 봉수대 등을 모두 갖추어 대한민국의 성곽 건축 기술을 집대성했다고 평가됩니다. 지형에 맞추어 읍성과 산성의 구조가 모두 존재하도록 축조되었습니다
팔달문은 수원 화성의 남문입니다. 1964년 9월 3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402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문루의 규모는 높이 9m, 너비 25m로, 누상에 종이 걸려 있습니다. 수원 화성은 정조 18년에 이궁으로 축성되었습니다. 중국을 거쳐 들어오는 서양문화의 영향을 반영한 점이 중요한데, 이는 전축의 보루 같은 구조 면에서나 건축기계 면에서 실측할 수 있습니다. 흥인문에서와 같은 옹성을 앞쪽에 두고 역시 위에는 총안을 뚫었습니다.
광교호수공원은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하동 일대에 위치한 공원이며 매년 300 만명 이상이 방문합니다. 농업을 위해 만들어둔 원천호수와 신대호수를 광교신도시 개발에 맞추어 공원으로 정비했습니다.
삼성 이노베이션 뮤지엄은 2014년 4월에 개관한 삼성전자 소유의 전자산업 박물관이며 경기도 수원시의 삼성 디지털센터에 위치해 있습니다.
수원화성은 조선의 축성 기술을 기반으로 중국,일본의 축성방식과 서양의 축성 기술을 도입하여 만든 세계 성곽의 총화이기도 합니다.더불어 정조대왕의 위민과 개혁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기반도시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수원시는 우리 역사상 가장 중요한 문화유산의 하나인 수원화성을 널리기 위하여 건립하였습니다.
나혜석 거리는 수원 태생인 최초의 한국 여성 서양화가 정월 나혜석 여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약 300m가량의 문화 거리로 문화예술회관, 효원공원, 야외 음악당 등을 연결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도로 내 분수대, 음악이 흐르는 화장실, 조경수가 잘 조성되어 있는 보행자 전용 도로로서 거리 공연과 같은 다양한 볼거리, 주변의 전문식당가로 먹거리가 산재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 문화와 만남이 공존하는 거리입니다.
봉녕사는 수원시 장안구 우만동 광교산 기슭에 자리하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입니다.광교산 기슭에 자리한 봉녕사는 수원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로 고려 시대의 불상인 석조 삼존불과 대웅전 앞뜰에 수령 800여 년의 향나무는 봉녕사의 창건과 더불어 역사를 같이 한 산 증거로서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